W4 Weekly 과제 - Part 1
MVP 구체화 - 프로덕트 UX 개선/개발해 보기
목차
1. warm up : 몸풀기
- Weekly 과제에서 선택한 프로덕트가 아닌 새로 알게 되었거나, 관심 있는 프로덕트의 UX를 살펴보기
- 선택한 프로덕트 앱을 다운로드합니다.
- 회원가입부터 천천히 앱을 탐색해 봅니다.
- 해당 프로덕트의 좋은 UX와, 아쉬운 UX를 각각 1개씩 찾아봅시다.
- 각각의 좋은 UX, 아쉬운 UX는 사용자에게 어떻게 노출 혹은 발견되고 사용되고 있는지 간략하게 설명합니다.
- 아쉬운 UX를 좋은 UX로 개선하기 위해 이미지, 텍스트, 흐름 중 1개를 골라 내가 PM이라면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작성해 보세요.
2. 실전 : 아프리카TV - 기획한 MVP 구체화
2주 차에 기획한 MVP 구체화를 해봅시다.
- MVP 아이디어 소개
- 핵심 기능 정의
- PRD(제품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
- MVP 화면 디자인, 와이어프레임(Wireframe)
- 스토리보드(Story Board) 작성
Warm up : PS 살펴보기
회사명 : PS Analytics Inc
회사개요 : 유튜브 채널은 18년에 시작되었고, 회사는 2020년 설립한 회사로, 유튜브 '프로관전러 P.S'와 웹사이트 lol.ps, tftps.gg를 운영하고 E-sports 관련 여러 서비스들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출처 - PS유튜브 커뮤니티)
라이엇의 '리그오브레전드/TFT' 관련 전적을 검색하고 데이터를 활용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프로덕트
미션 - '모든 게이머들이 쉽고 재미있게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이라는 미션 아래, 회사 직원들이 한 마음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선 게이머들이 감동할 수 있는 지표를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게임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생각합니다.
선정 이유 :
1) 데이터 분석 관련 프로덕트에 대한 관심
2) 리서칭하는 과정 유튜브 알고리즘에서 자주 만났던 프로관전러
3) 다양한 관련 기업 중 개인적으로도 엮여있어 이번 기회를 통해 조사해보고 싶었다.
프로관전러 P.S 프로덕트 앱 탐색 (PS)
- 들어가기 전..
전적 검색과 더불어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덕트는
가장 유명한 OP.GG / FOW.KR 등 다양하고, OP.GG는 리그오브레전드 클라이언트와 연계된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으로 사용자들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기도 한다. (실제 국내 대부분 PC방에 설치되어 있음)
그렇기 때문에 PS가 가지고 있는 차별성 - 핵심자원에 대해서 먼저 생각해 봤다.
핵심자원을 알아야 프로덕트에 대해 이야기할 때 강조점을 알 수 있고 좋은 점과 문제라고 생각하는 부분의 개선방향을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내가 생각한 프로관전러 P.S의 핵심가치는 2가지이다.
- 유튜브와의 연계 (영상 콘텐츠와의 연계)
- PS만의 데이터 분석 방법을 통한 타 경쟁사에서 제공하지 않는 디테일한 데이터들
(ex. 듀오시너지, 아이템시너지, 빌드 연구 등)
탐색 방법 :
- 직접 탐색
- VOC (구글 플레이 스토어 리뷰)
앱으로는 PS를 처음 접해보기에 다운로드를 받고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탐색하고, 구글 플레이 스토어 리뷰를 살펴봤다.
- 앱 메인 검색 UI - 최근 검색 기능 X
리뷰에서 가장 많은 의견을 받았던 기능, 사용자들은 보통 자신의 아이디를 검색하기에 최근 검색이나 즐겨찾기를 통해 자신의 아이디를 등록한 후 빠르게 자신의 전적을 검색 페이지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PS 앱에서는 최근검색 기능이 없었고, 이는 사용자들이 사용할 때마다 자신의 닉네임을 직접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가져왔다.
다만, 웹으로 확인해 본 결과 웹으로는 구현되어 있는 기능이었다. (TFTPS 앱에서는 메인 검색 구현 X, 상단 검색 구현 O)
- 핵심 자원까지의 흐름 (차별성 있는 데이터) - 가장 아쉬운 UX
위에서 말했듯 PS가 가지고 있는 타 경쟁사와의 차이점은 PS연구실을 통한 디테일한 데이터들이다.
앱에서 PS연구소 페이지까지 접속하기 위해서는
- 메인페이지에서 우측 상단의 작은 햄버거바 클릭
- PS연구소 클릭
- PS연구소 접속
의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의 시작 자체가 메인 페이지에서 작은 아이콘인 우측 상단의 햄버거 바를 클릭하는 것부터
전적 검색을 위해 접속한, 유튜브를 통해 유입된 라이트 한 사용자들에게
PS 핵심자원까지 도달하는 것의 진입장벽이 높다고 생각한다.
- 로그인 시 UI - 간편 로그인 Google 아이콘이 보이지 않음
로그인 창에서 구글 간편로그인 아이콘이 앱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상호작용도 되지 않기에 앱으로 구글로그인이 불가능해 회원가입을 새로 했다.
웹으로는 구글아이콘이 보이고, 앱에 빈 공간이 있기에 단순 오류로 생각된다.
- 메인 화면 제외 어디서든 나오는 광고
우측 상단 햄버거바를 통해 메인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접속 시 항상 중간에 광고가 위치해 있으며
내용을 찾기 위해 아래로 스크롤할 시 우측하단에 광고가 따라온다.
처음 한, 두 번은 괜찮았지만 다른 페이지로 갈 때마다 광고가 나왔다.
광고로 인한 영향인지는 모르겠지만 페이지 로드 속도가 상당히 느렸다.(가설 - 광고 때문에 페이지 로드가 느림)
- 맞지 않는 UI 규격
터치를 하는 중간 우측으로 스크롤을 했을 때 빈 공간이 보인다.
메인페이지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오류지만, 타 페이지에서는 우측으로 스크롤을 한다면 규격이 맞지 않아
빨간색으로 칠한 공간과 같은 빈 공간이 보인다.
- 버그리포팅 상호작용 오류
버그로 보이는 여러 가지 오류를 발견하여 이를 제보하기 위해서 버그리포팅 텍스트를 클릭했지만...
버그리포팅마저도 버그가 발생했다.
추가적으로
- LOL.PS ▶ TFTPS 페이지 전환 시 되돌아가는 방법의 부재 (토글 기능 부재)
- 마이페이지 - 업적 달성 시 제공 팀로고 최신화 X
- 전적검색 시 상세 보기 데이터 - 진행 게임 데이터 부족
- TFTPS 페이지 우측 상단 메뉴 레이어 활성화 시 닫기 기능 부재(상단 메뉴를 다시 클릭해야만 닫힘) 등
실제로 사용하면서 발견한 것들을 정리해 봤다.
좋은 UX / 아쉬운 UX 선정 및 선정 이유
좋은 UX : 챔피언 티어 분류 [ 탑, 정글, 미드, 원딜, 서폿, 전체]
챔피언의 라인별 티어 정보는 많은 사용자들이 참고하는 데이터이다.
그래서 LOL.PS앱에도, OP.GG앱에도 메인페이지에 위치하고 있다.
LPL.PS의 챔피언 티어가 좋은 UX라고 생각한 이유는
차별화된 정보인 [전체] 챔피언의 티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리그오브레전드를 즐겨하는 필자도 [전체] 데이터를 확인하고, 게임을 할 때 챔피언 선택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었다.
아쉬운 UX : 핵심 자원까지의 흐름 (차별성 있는 데이터)
'들어가기 전'에서 필자는 "LOL.PS의 핵심 자원 중 1개는 차별성 있는 데이터라고 생각한다."라고 이야기했다.
실제로 PS연구실을 통해 다른 곳에서 찾기 어려운 다양한 정보를 찾을 수 있고, 활용성도 되게 높으며
해설가들도 정보를 찾기 위해 사용한다고 한다.
이러한 핵심 자원까지 도달하는 프로세스의 진입장벽이 높은 점이 가장 아쉬운 UX였다.
아쉬운 UX : 핵심 자원까지의 흐름 개선방안
필자는 LOL.PS 앱의 하단 메뉴 바를 통해 핵심 자원까지의 흐름을 짧고, 굵게 가져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단 우측 햄버거바로만 타 메뉴, 커뮤니티 등으로 이동할 수 있기에 전체적인 UX의 질이 높아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우측 상단 햄버거바에 있는 주요 메뉴들을 하단 메뉴바로 옮길 햄버거바 메뉴를 더욱 세부적으로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많은 앱에서 하단 메뉴 바를 활용하고 있다.
프로토타입
'PM부트캠프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 위클리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W4 과제_Part2_V2_아프리카TV MVP구체화 -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0) | 2023.05.02 |
---|---|
W4 과제_Part2 아프리카TV MVP 구체화 -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2) | 2023.04.28 |
W3 과제_V2_피드백 반영-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2) | 2023.04.25 |
W3 과제_아프리카TV는 돈을 어떻게 벌지? -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2) | 2023.04.20 |
W2 Weekly 과제 개선 V2- [코드스테이츠 PM부트캠프(PMB) 18기] (0) | 2023.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