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스테이츠 PMB 18기 2주차 회고
목차
1. W1 위클리 과제 피드백 정리
2. KPY회고
W1 위클리 과제 피드백 정리
W1과제 링크
아프리카TV [게임카테고리] 분석한 건에 관하여 -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1 과제
성공적인 비즈니스모델 구축 과제 개요 내가 관심 있는 Product는 어떤 전략으로 어떤 위치에 있는가? - 가정 : 프로덕트를 담당하는 신입 PM으로서 시장분석을 통한 프로덕트 새로운 전략 수립을
mongmongspmstory.tistory.com
- 피드백 정리
해당 프로덕트로 달성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멘토님 피드백
- 게임 카테고리가 트래픽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아프리카 TV 전체 매출의 근거로 작용은 가능하나 광고 수익으로 특정 짓기에는 근거가 부족합니다. 기부경제의 주 매출 카테고리가 광고가 아닌 다른 부분이라는 근거를 보강하면 더 설득력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지인 피드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안정화 (게임과 e스포츠를 활용해 광고수익 증진) / 기업의 비전 달성]
이라고 정의한 달성 목표를 한가지로 정리할 수 있을 것같다.
EX. 비즈니스 모델 안정화 방안 > 기업의 비전 달성의 수단
- 자가 피드백
멘토님의 피드백 : '게임카테고리'의 콘텐츠형 광고수익의 정량적 데이터를 통해
[콘텐츠형 광고 수익 > 콘텐츠형 광고 수익에서 게임카테고리 비율] 을 근거로 제시했어야 할 것 같다.
또한 글의 플로우를 제대로 짜서 아프리카TV의 수익구조에 대한 이해를 확실히 할 수 있도록 했어야 했다.
지인 피드백 : 생각의 깊이 - 한번 더 깊이 생각할 수 있는 부분이었다. 피드백을 들으면서 내가 제 3자로써 이 글을 피드백해 주더라도 비슷한 말을 했을거라고 생각했고 과제를 할 때 시간에 쫒겨 하지않고, 한번 더 생각하고 진행해야겠다.
Why : 왜 이 프로덕트를 만들었을까? 프로덕트의 존재 이유
멘토님 피드백 :
- 특정 프로덕트에서 하나의 서비스 및 카테고리를 강조했는지 전달해주기 위해서는 시장성과 객관적 지표가 필요합니다. 아프리카 TV에 ‘게임’ 카테고리를 왜 만들었는지에 대해서는 국내 e스포츠 또는 게임 시장의 확장 그리고 시청자 수 등으로 스토리를 구성하는게 더 설득력 있어 보입니다.
- 자가 피드백
"국내 e스포츠 또는 게임 시장의 확장 그리고 시청자 수 등으로 스토리를 구성하는게 더 설득력 있어 보입니다."
멘토님 피드백을 적용시킨다면 결론을 같았겠지만 과정에 있어 글의 설득력 차이가 컷을 것이다.정성적으로 결론을 도출하는 것과 정량적으로 결론을 도출하는 것의 차이가 명백하기 떄문이다.최대한 숫자를 통해 결론을 도출하는 사고의 방식을 습관화 시켜야겠다.
What : 그래서 기업은 무엇을 만들고 있는가?
- 무엇을 만들고 있는지에서 사용자 편의 시스템은 실제 기능 요소별로 정보를 구체화하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 예시
- 개인화 서비스 : 회원의 즐겨찾기/자주보는 방송/현재 확인한 방송 기준 방송 추천 개인화 서비스 진행
- 화질 : 1080HD 뿐만아니라 UHD정도의 화질 제공으로 게임 방송 최적화
- 추가로 해당 편의 시스템은 게임에 국한된 내용은 아닌 것으로 상기 why나 what에 기재된 것에 끼워맞춘 느낌이 있습니다. 게임을 위한 고유의 기능을 언급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 자가 피드백
"상기 why나 what에 기재된 것에 끼워맞춘 느낌이 있습니다. 게임을 위한 고유의 기능을 언급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아프리카TV가 제공하고, 개선시켜가는 고객을 위한 편의제공 기능은 아프리카TV의 주요고객인 게임카테고리 시청자들이 주요 타겟이라고 생각했다. 글의 전반부에 언급한 '게임카테고리 트래픽 비율과 아프리카TV 상위 시청자 수 TOP10'이 이에 대한 근거가 될 수 있었지만 이를 글에 녹여 나의 사고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글을 적었어야 했을 것 같다.
+ 추가 질문 : '아프리카TV만의 생태계를 통한 문화' 부분에 대해서 아프리카TV가 만들어가고 있는 것에 대한 의견을 듣고 싶다. 질문에 올려야지...
How : 고객이 비용을 소모하며 프로덕트를 사용하는 이유와 배경 / 활용방법
기업이 비용을 소모하며 프로덕트를 발전시키고 유지하는 목적과 이유 / 활용방법
멘토님 피드백 :
- 해당 내용 중 이유와 배경은 How가 아닌 Why의 내용으로 보입니다.
- 어떤 방식으로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지 기재하는 것이 좋습니다.
- 자가피드백
HOW에 대한 내용은 전체적으로 수정을 해야할 필요성을 느꼈다.
애초에 HOW에 해당되는 질문자체를 조금 수정할 필요성이 보인다.
멘토님의 말과 같이 프로덕트를 사용하는 이유와 배경,기입이 프로덕트를 발전시키고 유지하는 목적과 이유는 WHY부분으로가고, '어떻게 ?' 라는 질문에 맞게 다시 질문을 구성하고 그에 대한 내용을 짜야할 것 같다.
When
멘토님 피드백 :
- 실제 고객의 시간대보다는 어떤 니즈에 의해 어떤 시점에 사용하는지와 주기를 보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 자가 피드백
멘토님 피드백의 내용을 추가시켜서 When에 대한 글의 흐름을 설득력이 더 높아지게 구성할 수 있겠다 라는 생각이 들었다.
고객이 어떤 니즈에 의해서 어떤 시점에 사용하는지 > 사용 주기에 대한 데이터 > 실제 고객의 사용 시간대 데이터로
when내용을 구성했으면 이쁘게 글이 나왔을 것 같다.
아프리카TV 게임카테고리의 직접적인 시장조사
멘토님 피드백 :
- 달성하고자 하는 것과 육하원칙 서비스 내용 이전에 해당 시장조사가 먼저 언급되면 더 설득력있게 전달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자가 피드백 :
제 3자의 입장에서 나의 글을 읽어보려고 노력했다. 나는 이미 아프리카TV에 대해서 사전 지식이 있으며 내가 글을 작성하니 나의 생각의 흐름도 자연스럽게 이어져 글에 대한 이해가 쉽다.
하지만 제 3자의 입장에서 나의 글을 봤을 때 각 목차의 흐름이 어색하고, 부분부분 별로 이해는 되지만 전체적으로 그래서 내가 하고싶은 말, 결론이 제대로 나타나지않을 것 같다.
멘토님의 피드백처럼 직접적인 시장조사를 글의 초반부로 옮긴다면 내가 가지고있는 이해도를 독자들에게 심어줄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뒤의 내용도 이어지며 글의 흐름이 더욱 좋아졌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프리카TV 게임카테고리의 경쟁 프로덕트 : 트위치
멘토님 피드백 :
- 실제 서비스간의 비교에서 편의성(사용성)의 경우 캡쳐된 화면과 함께 차이점을 정확히 명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 X/Y축의 경우 3개 이상 여러 서비스에서의 특정 서비스 포지셔닝을 위해서는 좋지만 지금과 같이 1:1 비교에서는 단순 표나 화면 등으로 전달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지인 피드백 :
- 경쟁사의 종류가 더 많았을 것 같다. 트위치 외 다른 곳들도 함께 조사했다면 좋앗을 것 같다.
- 자가 피드백
자가 피드백을 하면서 느낀 점은 일단 글로 내용을 전달하는 것 보단 이미지를 통해 직관적으로 내용을 전달하는 것이 훨씬 글을 읽는 독자입장에서 보기 편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멘토님의 피드백은 나의 1주차 과제의 가독성이 많이 떨어진다는 것에 대한 근거라고 말해도 될 것같다.
앞으로 글로 내용을 풀기보단 이미지를 통해 직관적으로 내용을 풀어가도록 해야겠다.
지인 피드백을 들으며 많이 찔렸다...
사실 경쟁사에 대한 완벽한 조사가 전제되지 못한 상황에서 (시간이 부족하긴했지만 역량의 부족)
경쟁사 비교에 대한 회의감이 들어 경쟁사 자체에 집중하기보단 고객인 시청자와 스트리머/BJ의 x축의 설정 배경과 y축의 설정 배경에 더욱 집중했다고 생각한다. 경쟁사 비교에 집중했다면 더욱 많은 경쟁사를 선정할 수 있었을 것이고 거기에서 오는 아프리카TV의 확실한 포지셔닝을 확인할 수 있었을 것같다.
그래서 2주차 설문조사에서는 더 많은 경쟁사를 언급하긴 했지만 태도와 마인드를 좀더 잘 잡고 앞으로 과제를 수행해야겠다.
아프리가TV 게임카테고리를 성장시키기 위한 아이디어
멘토님 피드백 :
- 실제 아이디어는 wireframe을 어느정도 구성하여 전달하면 더 효과적입니다. 러프하게라도 구성하여 전달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자가 피드백
와이어프레임에 대해서 잘 모르기에 좀 더 공부해야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PMB의 교육과정만 따라가기엔 나의 부족한 점이 많고, 실무로 나아가기 위한 역량을 갖출려면 개인공부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느꼈다. 화이팅해야지..
KPY회고
KEEP - 좋았던 것, 유지할 것
- 마인드셋 : 유지할 것
마인드셋을 업그레이드 시키는 중이다. 처음 코드스테이츠 지원할 때의 마인드를 생각하며 열정적으로 교육에 임하는 중이다.
또한 최대한 객관적인 태도로 내 작업물을 살펴보려고 노력하고, 부족한 점을 인정하며 개선해나가기 위해 노력해야겠다.
프로덕트 매니저 부트캠프에서 '나'라는 프로덕트를 계속해서 업그레이드하고 개선해 수료 후 좋은 프로덕트가 될 수 있게...
- 학습정리 및 복습 : 유지할 것
이번주도 학습정리와 복습을 확실히 진행했다. 특히 배운 것을 실행해보며 직접 몸으로 느낀 부분이 있어 긍정적이었다.
- 설문조사 실행 : 좋았던 것
강의를 바탕으로 실제로 설문조사를 실행했다. 강의를 들으면서 생각한 설문조사와 직접만들어본 설문조사의 차이는 생각보다 컷다.실제로 설문조사를 만들면서 많은 고민을 했고 이 고민들은 좋은 경험으로 남을 것이다.
-동기님들과의 상호 피드백 : 좋았던 것
피드백은 많을수록 좋다고 생각한다.
멘토님의 피드백은 정기적으로 받을 수 있는 구조지만, 같이 교육을 받는 동기님들의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구조는 페어링밖에 없었다. 그래서 동기님들에게 따로 요청드려 상호피드백을 진행했고, 점점 같이 상호피드백을 하는 인원을 늘려나가야겠다.
Problem - 문제였거나 부족하거나 아쉬웠던 것
- 시간분배 : 부족했던 것
이상하다... 생활패턴이 다시 꼬여버렸다. 위클리 과제를 하면서 밤을 새는 과정들, 주말에 뒤바뀐 생활패턴은 이번주의 시간분배에 영향을 미쳤다.
오전시간을 효율적으로 써야하는데 집중하지 못하고, 피곤한 상태로 교육을 진행하다보니 시간분배를 이번에도 실패했다.
생활패턴을 제대로 맞추고, 효율적으로 시간분배를 해야겠다.
- 위클리 과제 : 부족했던 점
위클리 과제에 대해서는 따로 게시물을 통해 회고 및 보충을 진행해야겠다.
Try - Problem을 일으켰던 요인, 시도해 볼 것
W1 회고 Try 목록
- 하루 체크리스트 항목 세분화 : 시간분배에 대한 솔루션 X
하루 체크리스트 항목 세분화를 따로 진행하진 않았다. 다만 위클리 체크리스트 > 데일리 체크리스트를 노션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번주엔 체크리스트를 더욱 세분화 하도록 해봐야겠다.
- 학습 방식 카테고리 분류 : 자기 주도적 학습 솔루션 O
처음엔 어려웠던 자기주도적 학습이 슬슬 자리잡아가고 있다.
학습 프로세스를 나름대로 짯고, 공부 방법들의 카테고리를 2-3가지로 분류했다.
- 관련 서적 독서 및 페이지네이션 : 글의 흐름 잡기 △
W1 위클리 과제에서 가장 안좋았던 점은 글의 흐름을 잡는 것이었다.
W2 과제에서는 글의 흐름을 잡기위해서 따로 로직을 구성했고 로직에 따라 글을 쓰기위해 노력했다.
다만, 논리의 기술이라는 책을 읽고 싶었는데 따로 시간을 내서 읽지 못한게 아쉽다.
W2 Try
- 하루 생활패턴 맞추기 : 시간분배에 대한 솔루션
- 독서 : 추가 학습
- 위클리 과제 보충 : 위클리 과제 솔루션
- 동기님들과의 상호 피드백늘리기
'PM부트캠프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 회고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7 주간 회고 - 역할극 토론 (W7D4) (0) | 2023.05.21 |
---|---|
데이터에 대한 생각의 틀을 넓힌 일주일 - W6 회고 (0) | 2023.05.16 |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4회고] - 말단PM에서 군주까지 (0) | 2023.05.02 |
역대급 PM 설계사 -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3 주간 회고] (0) | 2023.04.23 |
일타강사 코사부 -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1 주간 회고] (0) | 2023.04.09 |